2024.05.11 (토)

  • 구름많음속초21.6℃
  • 구름조금11.4℃
  • 맑음철원9.5℃
  • 맑음동두천10.8℃
  • 맑음파주8.5℃
  • 구름많음대관령13.4℃
  • 구름조금춘천11.3℃
  • 흐림백령도13.6℃
  • 구름많음북강릉21.8℃
  • 구름많음강릉17.4℃
  • 맑음동해18.7℃
  • 맑음서울15.5℃
  • 맑음인천14.9℃
  • 구름조금원주14.5℃
  • 구름많음울릉도18.2℃
  • 맑음수원11.5℃
  • 구름많음영월12.0℃
  • 구름조금충주11.3℃
  • 맑음서산14.3℃
  • 맑음울진20.3℃
  • 맑음청주16.0℃
  • 맑음대전13.7℃
  • 구름조금추풍령11.1℃
  • 구름조금안동15.2℃
  • 맑음상주13.8℃
  • 맑음포항18.3℃
  • 맑음군산15.0℃
  • 맑음대구15.3℃
  • 구름조금전주16.6℃
  • 구름조금울산17.7℃
  • 맑음창원15.5℃
  • 맑음광주16.5℃
  • 구름조금부산17.2℃
  • 맑음통영15.2℃
  • 맑음목포15.8℃
  • 맑음여수16.7℃
  • 맑음흑산도14.6℃
  • 맑음완도14.2℃
  • 맑음고창15.0℃
  • 흐림순천13.0℃
  • 맑음홍성(예)16.2℃
  • 맑음11.6℃
  • 맑음제주15.9℃
  • 맑음고산17.0℃
  • 맑음성산16.0℃
  • 맑음서귀포18.4℃
  • 맑음진주14.7℃
  • 맑음강화14.7℃
  • 구름조금양평12.6℃
  • 맑음이천13.8℃
  • 구름많음인제14.8℃
  • 구름많음홍천11.3℃
  • 구름많음태백16.6℃
  • 구름많음정선군12.8℃
  • 구름조금제천10.6℃
  • 맑음보은11.1℃
  • 맑음천안10.2℃
  • 맑음보령15.8℃
  • 맑음부여10.6℃
  • 구름조금금산11.3℃
  • 맑음12.4℃
  • 구름조금부안15.8℃
  • 맑음임실14.6℃
  • 맑음정읍14.8℃
  • 맑음남원16.5℃
  • 구름많음장수14.5℃
  • 맑음고창군16.3℃
  • 맑음영광군14.5℃
  • 맑음김해시15.8℃
  • 맑음순창군15.9℃
  • 맑음북창원17.6℃
  • 구름조금양산시14.1℃
  • 맑음보성군14.0℃
  • 맑음강진군13.4℃
  • 맑음장흥16.4℃
  • 맑음해남14.7℃
  • 맑음고흥13.5℃
  • 맑음의령군12.7℃
  • 맑음함양군10.3℃
  • 맑음광양시15.6℃
  • 맑음진도군16.3℃
  • 구름많음봉화11.2℃
  • 구름많음영주12.7℃
  • 구름조금문경12.3℃
  • 구름조금청송군10.5℃
  • 맑음영덕18.1℃
  • 맑음의성11.8℃
  • 구름조금구미14.4℃
  • 맑음영천12.8℃
  • 구름조금경주시15.3℃
  • 구름조금거창10.3℃
  • 맑음합천14.5℃
  • 구름조금밀양13.0℃
  • 맑음산청15.3℃
  • 구름조금거제15.2℃
  • 구름많음남해17.7℃
  • 구름조금13.7℃
기상청 제공

문화

전체기사 보기

청두 길거리서 궈좡춤 파티 연 Z세대 짱족 여성

청두 길거리서 궈좡춤 파티 연 Z세대 짱족 여성

융지(앞에서 오른쪽)와 친구가 청두의 한 광장에서 궈좡춤을 추고 있다. [사진 출처: 신화사] Z세대 짱족(藏族, 장족) 여성인 융지(雍吉)는 쓰촨(四川)성 아바(阿壩) 짱족•창족(羌族, 강족)자치주 진촨(金川)현 출신이다. 2014년 고향을 떠나 청두(成都)서 공부를 한 융지는 졸업 후에도 이곳에 남아 유치원 교사가 되었다. 짱족 전통 무용인 ‘궈좡’(鍋莊, 과장)을 좋아하는 그녀는 SNS에 영상을 공유하기 시작했다. 2021년, 융지와 두 명의 소수민족 친구는 궈좡 무용팀을 결성했다. 돈을 모아 조명과 스피커를 구매한 그들은 청두의 한 광장에서 춤을 추기 시작했다. 인터넷과 입소문의 영향으로 무용팀을 보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났다. 가장 북적일 때는 천 명에 가까운 각 소수민족 사람들이 춤을 췄고 사람들은 춤과 음악을 통해 즐거움을 나누었다. 그리고 많은 팬들이 베이징, 상하이 심지어 해외에서도 공연을 보기 위해 찾아왔다. 융지가 “궈좡춤은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무형문화재)이다. 사람들이 궈좡춤을 통해 짱족 동포의 열정과 짱족 문화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궈좡 같은 소수민족 문화 특색이 있는 춤을 자신의 유치원 업무에 접목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출처:인민망(人民網) ㅣ 번역: 오은주

세계에서 가장 긴 ‘탕카’…장족 ‘백과사전’으로 불려

세계에서 가장 긴 ‘탕카’…장족 ‘백과사전’으로 불려

칭하이장족문화박물원에 전시된 중국장족문화예술채색대관 [사진 출처: 인민망] 중국장족문화예술채색대관(中國藏族文化藝術彩繪大觀)(상권)(이후 채색대관으로 칭함)은 현재 칭하이(靑海)성 시닝(西寧)시의 칭하이장족문화박물원에 보관 중이다. 1999년 12월, 세계에서 가장 긴 탕카(唐卡: 장족의 특수한 그림으로 불경 이야기나 장족 문화 등을 내용으로 함)로 ‘세계 기네스북’에 올랐다. 채색대관은 전체 길이 618미터, 넓이 2.5미터에 전체 크기가 1500여 평방미터, 무게가 1.5톤에 달한다. 전체적으로 탕카 700여 점에 인물이 18만 3천여 명 등장하고, 상하단부에 장식된 두이슈(堆繡: 탕카의 일종) 모양만 3000여 가지다. 또한 채색 안료는 전부 금, 은, 진주, 산호, 마노와 같은 진귀한 광물 보석과 샤프란 및 대황 등의 진귀한 식물을 사용해 보존만 잘 한다면 영원히 퇴색되지 않는다. 이 거대한 그림은 장족의 역사기원, 종교계승, 문화예술, 의약보건, 천문지리, 신화전설, 생활풍속, 민족단결과 지역번영 등 내용을 체계적으로 연결해 한 폭의 그림에 담아내어 장족의 ‘백과사전’으로 불린다. 채색대관의 주창자 쭝저라제(宗者拉傑)는 칭하이성 쉰화(循化)현 마을에 사는 전통공예 미술장인이다. 그의 주도로 칭하이, 시짱(西藏), 간쑤(甘肅), 쓰촨(四川), 윈난(雲南) 5개 성의 우수한 예술장인 400여 명이 모여 27년간 노력으로 이 거대한 작품을 완성했다. 쭝저라제는 2005년부터 채색대관 하권 제작을 시작했고, ‘일대일로’를 배경으로 상권 내용을 보완했다. 410미터에 달하는 채색대관 하권은 2019년에 완성되었는데, 대중들에게 향후 상·하권 연결로 천 미터에 달하는 엄청난 길이의 그림을 감상할 기회가 주어질 예정이다. 출처:인민망(人民網) |번역: 조미경

[세계 금연의 날] 전자담배 안전하다? 스스로를 속이지 말자!

[세계 금연의 날] 전자담배 안전하다? 스스로를 속이지 말자!

[사진 출처: 시각중국(視覺中國)] 오늘은 제34회 세계 금연의 날이다. 담배의 위해성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공공보건문제의 하나로, 흡연은 만성호흡기질환, 암, 심뇌혈관질환 및 당뇨병 등 다양한 질병의 원흉이며, 간접흡연 또한 그 위해성이 크다. 이 밖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20년 5월 11일 발표한 연구결과를 보면, 코로나19 환자가 흡연자일 경우 중증이나 사망으로 발전할 위험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떠도는 일부 소문들은 ‘골초’들에게 담배를 끊을 필요가 없는 ‘희망’을 보여주는 듯하다. 예를 들면, 흡연 시 연기를 폐로 흡입하지 않으면 무해하고, ‘골초’들이 갑작스럽게 담배를 끊으면 몸이 상한다는 소문이다. 과연 사실일까?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전자담배는 안전하다? 최근 들어, 전자담배 판매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적지 않은 판매업체에서 ‘안전한 담배 대체품’이라고 선전하고 있지만 실제 과연 그러할까? WHO 금연호흡기질병예방협력센터 주임이자 중일우호병원 호흡기센터 부주임 샤오단(肖丹)은 “전자담배는 타르, 부유입자 등의 위해 물질 함유량이 다소 적지만 대부분의 전자담배는 중독을 유발하는 니코틴을 주성분으로 해 기존 담배와 비교해 그저 ‘형태만 바꾸고 내용은 바꾸지 않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베이징금연협회 장젠수(張建樞) 회장 역시도 전자담배에 들어가는 여러 방향제와 화합물로 인해 전자담배 흡연자는 기타 유해 화합물질을 흡입할 위험이 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샤오단 부주임은 또 “전자담배 연기에는 세포독성이 있기 때문에 연기에 노출된 세포는 DNA 손상 및 죽음을 초래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전자담배 에어로졸에는 부탄디온 등 물질이 함유되어 정상인의 기관지 상피세포 섬모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고,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자담배 액상과 에어로졸은 인체 폐의 섬유모세포, 폐 상피세포 및 인체 배아줄기세포에 확실한 세포독성을 생성해 세포 자살 및 손상 등을 유발한다고 밝혔다. 타르 성분이 낮으면 위해성도 줄어든다? “이는 비과학적인 말이다” 장젠수 회장은 국내외 다수 과학연구를 통해 타르 성분을 아무리 줄이고 첨가물을 넣어도 인체에 대한 위해성은 줄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르 성분 감소가 위해성 감소를 가져오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사실, 타르 성분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담배 피는 과정에서 대량의 위해 물질이 발생한다. 타르 함유량이 낮다고 해서 발암물질 함유량이 줄어들지 않는다”라고 샤오단 부주임은 말했다. 독성학 연구를 보면, 타르 함유량이 낮아질 때 타르의 일부 발암물질 함유량은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 니트로사민과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이 그 예로, 타르 성분이 낮아져도 담배가 인체에 가하는 위해성은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 흡연 시 연기를 폐로 흡입하지 않으면 무해하다? “흡연은 반드시 폐를 거친다”라고 말한 샤오단 부주임은 담배를 피는 순간 연기는 들숨을 따라 빠르게 폐로 들어가고, 이러한 과정을 우리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고 했다. 이 밖에 흡연 시 뿜어내는 연기가 인체로 흡입되면 간접흡연이 된다며, 담배 연기의 유해한 화학물질, 발암물질은 호흡을 통해 폐로 들어가고 옷에도 묻어 흡연자 및 가족의 호흡기계통질환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대폭 높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른바 ‘폐를 거치지 않는’ 흡연 방식은 여전히 구강과 후두에 위해성을 가진다. 샤오단 부주임은 담배의 유해물질이 구강, 코, 후두 부위에 남아 타액선 염증, 미뢰 손상을 비롯해 미각과 후각 능력도 떨어지게 하고, 입냄새, 누렁니, 치주병, 구강백반 등 질환을 유발할 뿐 아니라 구강암, 기관지암, 후두암 유발율도 대폭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갑작스런 금연은 오히려 몸에 해롭다? “이 말은 맞지 않다” 샤오단 부주임은 일부 ‘골초’들이 갑자기 금연할 경우에 지나친 흡연욕구, 좌불안석은 물론 두통, 불면증, 초조 등 증상을 겪으며 무슨 병에 걸린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임상적으로 이러한 증상은 금단 현상으로 “오랜 흡연행위로 신체가 담배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갑자기 금연을 하게 되면 신체에 일부 이상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이상 증상은 신체가 좋아지고 있다는 표시다”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출처:인민망(人民網) |번역: 조미경

중국의 명절, 청명절 풍습 알아보기

중국의 명절, 청명절 풍습 알아보기

4월 4일 저녁 9시 35분은 청명절(淸明節)이다. 청명절은 24절기 중 유일하게 절기이자 명절이다. ‘청명’은 복사꽃이 피고 버드나무가 푸르름을 더해가고, 푸른 풀들이 자라고 꾀꼬리가 날아다니며, 산들바람이 불고 비가 내려 대지를 촉촉이 적시는 등 봄기운이 완연해지면서 곳곳에서 맑고 푸른 기운이 느껴진다는 데서 유래했다. 중국의 전통 명절인 청명절에 사람들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성묘하는 풍습이 있다. 또한 조국의 존엄을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바치고 고귀한 생명으로 대중의 안녕을 지켜낸 호국영령에게 경의를 표하는 추모식이 열리기도 한다. 한 시민이 성묘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남경일보] 간쑤(甘肅)성 난저우(蘭州)시 열사능원에서 사람들이 천훙쥔(陳紅軍) 열사에게 수많은 꽃다발과 꽃바구니로 헌화했다. [사진 출처: 신화망] 푸른 들판에 따뜻한 바람이 불고, 온갖 꽃들이 앞다투어 피고, 보슬비가 대지를 적시면서 시적 정취가 물씬한 싱그러운 수묵화가 연출된다. 청명절은 교외로 나가 산보하면서 봄을 만끽하기에 좋은 절기다. 바다링창청(八達嶺長城, 팔달령장성)에서꽃들이 앞다투어 피었다. (사진 출처: 바다링관광지 제공) 청명절 놀이 문화로는 그네뛰기와 연날리기 등이 있다. 사람들은 연을 띄운 후 가위로 연줄을 끊는다. 이는 질병과 재앙이 연을 따라 멀리 날아가길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상하이교통대학교 식당에서 파는 칭퇀[사진 출처: 신화망] 청명절에 먹는 음식도 지역마다 각각 다르다. 북방 일부 지역에서는 꽈배기나 떡을 먹고, 강남(江南) 일대에서는 칭퇀(靑團, 동그랗게 빚은 쑥떡)을 먹는 풍습이 있다. 출처:인민망(人民網) |번역: 이인숙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