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조선족’과 ‘중국 동포’ 호칭의 심리적 온도 차이

기사입력 2021.02.03 17:27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조선족은 중국 소수민족 56개 중 하나의 민족이다

     

    대개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한반도에서 간도 및 중국 각지로 이주해 정착한 한민족의 후손들을 이르는 말이며 넓게는 한국계 중국인 모두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전혀 차별적인 표현이 아니고, 그들의 명칭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일 뿐이다. 그러나 2018년부터 서울시는 조선족이라는 표현을 차별적 행정 용어라며 중국 동포로 순화해 쓰기를 권장하고 있다

     

    어쩌면 이때부터 중국 포비아(합성어, 중국+제노포비아Xenophobia, 외국인 또는 이민족 집단을 혐오, 배척이나 증오하는 것)가 시작 되었을지도 모른다동포란 한마디로 표현하여 한국인의 피가 조금이라도 흐르는 외국인을 칭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 단어가 우리에게 주는 심리적 온도는 매우 뜨겁다동포’란 호칭은 무언가를 기대하게 하며, 관심을 갖게 만들고 가슴을 뜨겁게 만든다. 그만큼 서로 친밀하고 가깝다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대림동에서 중국인(조선족, 중국 동포)간의 살인 사건이 있었다. 각종 언론 매체에서 중국 동포 살인 사건이라는 제목으로 많은 뉴스를 내보냈다수많은 기사의 댓글을 보면 중국 포비아를 느낄 수 있다만약 중국이 아닌 타국가의 외국인간의 살인 사건이 있었다고 해도 같은 반응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그래서 호칭의 심리적 온도에 대해 다시 한번 느낄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좋을 때는 중국 동포’, 안 좋은 때는 조선족이라는 호칭을 사용할 수는 없다.

     

    중국 포비아현상이 더 크게 번지기 전에 호칭에 대한 정리가 필요한 때이다. 중요한 것은 순화해 쓰는 중국 동포라는 중국어가 없다는 것이다조선족이라는 호칭은 나쁜 뜻이 아니며 비하적인 표현이라고도 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족그리고 중국 동포에 크게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고, 다르게 느낄 필요가 없다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인식 속에는 이미 좋고 나쁨이 자리 잡혀 있기 때문에 어쩌면 앞으로 우리에게도 그들에게도 조선족도 아닌 중국 동포도 아닌 새로운 호칭이 어울릴 지도 모르겠다.

     


    KakaoTalk_20210203_100110751.jpg 

    김소현 수석연구원  

    한국외대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박사 수료ㅣ경희대학교 강사  

      

     

    이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재배포 등을 금합니다.                                                                                                                                                                                                                                                   

    한중교류

    한중교류

    국제

    국제

    라이프

    라이프

    backward top home